구여권 vs 신여권, 뭐가 다를까?
여권 발급을 앞두고 구여권과 신여권 중 어떤 걸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는 분들 많으시죠?
각 여권의 차이점과 장점을 정확히 알아야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.
지금부터 구여권과 신여권의 차이를 비교하고, 발급 방법 및 여권사진 규격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구여권과 신여권 비교
구여권과 신여권은 디자인과 보안기능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주요 차이점을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
항목 | 구여권 | 신여권 |
재질 | 종이 재질 표질 | 폴리카보네이트(플라스틱) 표지 |
색상 | 초록색 | 남색 |
유효기간 | 최대 5년 | 최대 10년 |
보안성 | 일반 보안 기능 | 보안 강화 (내부 칩 내장) |
사증란 추가 기능 | 가능 | 불가능 |
2. 구여권 장점
1. 사증란 추가 가능 : 구여권은 사증란이 부족해질 경우 추가가 가능하여 출장이 잦거나 여행이 많은 분들께 유리합니다.
2. 비교적 저렴한 발급 비용 : 신여권에 비해 제작 단가가 낮아 발급 비용이 더 저렴합니다.
3. 신여권 장점
1. 긴 유효기간 : 최대 10년 유효기간으로 한 번 발급하면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.
2. 강화된 보안성 : 칩이 내장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위조 방지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.
3. 고급스러운 디자인 : 남색 표지로 세련된 디자인을 갖추고 있습니다.
4. 구여권 발급 방법
신여권 도입 이후에도 구여권 발급이 가능합니다.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 구여권 발급이 유리합니다.
1. 사증란 추가가 필요한 경우 : 여행이나 출장으로 도장을 많이 받는 경우 구여권 발급을 고려해 보세요.
2. 발급 비용 절감을 원하는 경우 : 신여권보다 저렴하게 발급 가능합니다.
5. 여권 발급 절차
구여권, 신여권 모두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법으로 발급 가능합니다.
온라인 발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여권 재발급 방법을 확인해주세요!
6. 여권사진 규격
여권사진은 국제 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.
다음 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.
1. 크기 : 3.5cm x 4.5cm
2. 배경색 : 흰색 배경
3. 얼굴 크기 : 머리끝부터 턱까지 3.2cm ~ 3.6cm
4. 표정 : 입을 다물고 자연스러운 표정 유지
5. 의상 : 제복, 흰색 옷 금지 (배경색과 구분되어야 함)
6. 안경 : 착용 가능하나 색안경, 두꺼운 테 안경 금지
7. 여권 발급 시 주의사항
- 미성년자 여권 : 법정대리인 동의 필요
- 유효기간 확인 : 해외 출국 전 여권 유효기간 6개월 이상 남았는지 체크
- 수수료 준비 : 구여권, 신여권에 따라 수수료 상이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, 제대로 알고 준비하자! (0) | 2025.03.09 |
---|---|
3월, 아침 루틴으로 건강 지키는 나만의 비법 (0) | 2025.03.01 |
여권 갱신 방법: 온라인 신청 꿀팁 총정리 (2) | 2025.02.27 |
2025년 최저임금 인상 내용과 계산법 총정리 (1) | 2025.02.27 |
스마트폰 배터리 오래 쓰는 법 (0) | 2025.02.26 |